요즘 유행하고 있는
벌에 쏘인 강아지 사진
그 웃픈 상황이지만,
귀여움에 웃음을 자아내는 데요,
(사랑니 뺀 거 아니에요...)
이 귀여운 강아지들이
하나같이 벌에 쏘인 부위가
입과 코주위로 동일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개의 특성상 발달되어 있는 후각으로
많은 것을 인지하고 탐색합니다.
날아다니는 벌을 탐색하기 위해
코를 갖다댈 확률이 매우 높은데요,
그렇기 때문에 코나 입주위가 벌에 쏘여 부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고양이는 어떨까요?
(힌트사진)
네, 고양이는
특성상 탐색을 위해
주로 앞발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고양이는 강아지와 달리
앞발에 쏘일 확률이 매우 높고,
고양이 발이 호랑이 발이 될 확률또한 매우 높겠지요...
(변신,짜란)
국내에 분포하고 있는 벌은
주로 양봉꿀벌로
honey bee, Apis mellifera종입니다.
봉독약침 등 치료에 사용하는 봉독성분도
이 양봉꿀벌에서 생산됩니다.
동물병원에서도 봉독주사를 이용해
동물의 디스크등 증상을 치료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봉독주사 동물디스크치료 사례관련)
↓
https://m.blog.naver.com/hope19900/220621471372
동물이 장수말벌 등에 쏘이면 아주 위험하지만
이 양봉꿀벌에 쏘인다면
특별한 과민반응이 없다면
적절한 조치만으로도
동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과민반응 : 호흡곤란, 구토, 설사, 실신등
과민반응 발생시 가까운 동물병원에서
필요한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비플러스 원외탕전 | 정재우 | 경북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 159 (우편번호 : 39895) | 사업자 등록번호 : 227-91-00715 | TEL : 054-973-0700 | Mail : cs@beeplus.kr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6-경북칠곡-00122호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봉독치유농업모델화사업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독 치유농업 모델화사업단 (0) | 2017.11.01 |
---|---|
봉독강의-정재우원장 <양봉학회 추계학술대회> (0) | 2017.10.24 |
칠곡군 낙동강 세계평화축제 (0) | 2017.10.08 |
칠곡낙동강축제준비과정 (0) | 2017.09.21 |
농업생물부_간담회참석 (0) | 2017.09.21 |